6G 통신은 5G를 잇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2030년경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6G는 최대 1T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여 5G보다 최대 50배 빠른 속도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동향:
한국 정부는 2023년 8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총 4,407억 원을 6G 연구개발(R&D)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8월에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2021년 4월부터 5년간 2천억 원 규모의 R&D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제 동향:
일본은 2020년 1월 총무성 주관으로 '6G 연구회'를 발족하며 정부 주도의 6G 연구를 본격화하였고, NTT는 2020년 7월 100여 개의 일본 기업과 함께 '6G 통신장비' 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독일은 2024년 8월, 한스 쇼텐 교수를 6G 개발 코디네이터로 임명하여 6G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기술 전망:
6G는 테라헤르츠(THz)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인공지능(AI)과의 융합을 통해 네트워크 자동화 및 최적화를 추구합니다. 또한, 지상뿐만 아니라 공중, 해상 등을 포함하는 3D 입체통신을 실현하여 전 세계 어디서나 연결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G 기술의 발전으로 홀로그램 통신, 스마트 시티, 원격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G 통신 기술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글로벌 및 국내 여러 기업들이 관련 연구와 투자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
퀄컴(Qualcomm): 무선 통신 기술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6G 기술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화웨이(Huawei): 캐나다 오타와에 6G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여 관련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에릭슨(Ericsson): 차세대 통신 기술 연구에 집중하며, 6G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노키아(Nokia): 6G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삼성전자: 6G 기술 개발에 선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LG전자: 320미터 이상의 6G 테스트에 성공하였으며, 초당 1TB의 속도를 제공하는 6G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일본 NTT 도코모와 협력하여 새로운 5G 및 6G 셀룰러 인프라를 계획하고, 가상화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투자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시밀러와 CDMO 소개 (0) | 2025.01.28 |
---|---|
생성형 AI 비디오기술 과 국내 업체 (1) | 2025.01.27 |
석유가격 영향 요인 (0) | 2025.01.19 |
몬산토(Monsanto)와 카길(Cargill) (0) | 2025.01.18 |
옥수수와 경제영향 (0) | 2025.01.18 |